대한민국 발사체 누리호 발사 의미
- 생활정보
- 2022. 6. 14.
2022년 6월 16일 발사 예정인 대한민국 발사체 누리호 발사 예정입니다. 실제 작동 인공위성이을 최초로 탑재하고 지난 나로호 때와는 다른 국산 발사체입니다. 2010년부터 2022년간 개발 한 3단 로켓입니다.
나로호 누리호 차이점
- 나로호 - 300km고도, 탑재 중량 100kg, 길이 33.5m, 2단 로켓(1단 러시아, 2단 대한민국 발사체)
- 누리호 - 600~800km, 잡재중량 1.5톤, 길이 47.2m, 3단 로켓 (국내 독자개발)
이미 우리는 지난 2022년 10월 16일 나로호 발사를 했는데요. 이는 위선모사체로 실제 작동하는 위성이 아닌 더미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022년 10월 21일 누리호 2차는 위성탑재 입니다. 위성 모사체만 탑재한 1차와는 달리 성능검증위성을 탑재하고 발사됩니다. 성능검증은 누리호의 궤도 투입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조선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카이스트 등 4개 대학이 개발한 큐브위성 4로, 국내 최초 전자광학/ 중적외선 /장 적외선 다중 밴드 지구관측업무와, 정밀 GPS 신호 활용한 지구 대기관측, 미세먼지 모니터링, 초분광 카메라 지구 관측업무를 수행합니다.
큐브 셋은 가로 x 세로 x 높이가 각 10cm 질량 1.33kg의 초소형 인송 위성입니다.
누리호 탑재 인공위성
조선대학교 - STEP Cube Lab 2 (크기/무게 : 6U/9.6kg)
국내최초로 가시광선, 중적외선, 장 적외선을 관측할 3대의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으며, 백두산 천지의 분화의 징후와 한반도의 도심 관측 , 해양 지역의 지역정보로 관측업무
카이스트 - RANDEV (크기/무게 : 3U/3.233kg)
초분광 카메라를 이용해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고도 700km 상공에서 한반도를 촬영한 데이터를 일기예보, 화산이나 재난 지역 촬영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6개월 동안 다양한 주파수 촬영
서울대학교 - SUNGLITE 2 (크기/무게 : 3U/3.84kg)
3기의 정밀GPS 반송파 신호를 활용 해지 구더기 관측 데이터 수집
연세대학교 - MIMAN (크기/무게 : 3U/3.722kg)
탑재된 카메라는 지상 100km x 1000km의 영역을 200m 해상도로 촬영 미세먼지의 상세 모니터링
다누리 달탐사선 발사 계획
다누리 발사체는 2022년 8월 3일 오전 8시 37분 미국 스페이스 X의 발칸 9로 발사될 예정인 우리나라 최초의 달 탐사선입니다.
이상으로 2022년 6월 15일 발사 예정이 이었으나 하루 연기된 6월 16일 발사 예정인 누리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화학 삼성SDI 정품 국산셀 18650 리듐이온베터리 루나볼트 소개 (0) | 2022.10.20 |
---|---|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 구입시 주의할점 (0) | 2022.09.28 |
삼성 비스포크 그랑데 AI 제품구입시 챙겨볼 사항 (0) | 2022.06.13 |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2.05.02 |
2022년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요건 금액조회 방법 (0) | 2022.04.30 |